2 / 5

지금 핫한 멘토

또사이선생
시초가, 종가 배팅으로 짧고 빠르게!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은 잘못된 습관을 바로 잡고 잃었던 돈을 되찾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멘토 홈 바로가기

회원 수익 인증 & 후기

회원들의 생생한 수익 인증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 쏠쏠했습니다
    타점이 기가막힙니다. 쏠쏠하게 재미보고 갑니다
  • 미국주식으로 돈벌기
    보노멘토님 강의들으며 미국주식 시작한지 5개월차로 접어드네요국장의 경험과 기법들이 그대로 적용되는걸 보고 느끼고 있습니다. 신기하게도요..큰수익도 보고 물린것도 있고 하지만자산도 꾸준히 늘고 있고 좋은 경험 계속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또사이선생님] 파이어족x레레레 레전드!!!로드맵 !! 수익인증
    ■ 📷 인증 이미지 첨부 (1장이상 필수)👉 캡처, HTS화면, 매매 내역 등 가능하면첨부해주세요 ■ 📈 투자 멘토👉 [멘토명 입력] 또사이선생님■ 🧾 인증 종목 또는 자산👉 예: 삼성전자 / 나스닥 ETF / 비트코인 등 일진전기.SK하이닉스 등■ 💰 수익률👉 예: +17.3%, -3.2% (수익 또는 손실 모두 가능) 일진 1000%이상 / SK 3자리 수익률 진행중■ 🕐 투자 기간👉 예: 2025.04.01 ~ 2025.05.15 일진  기존보유종목. 로드맵에서 배우고 1000프로달성 SK  25.05.30~ 현재■ 🧠 투자한 이유 / 전략👉 어떤 근거와 판단으로 매수했는지 작성해주세요 선생님과 직원분들의 꼼꼼하게 챙겨주시는 시장정보와 다양한 실전 트레이딩, 전략, 심법 등 한단계한단계 다듬어가며  현재 수익률 달성. 메인계좌 목표가를 넘어, 현재까지 수익 진행중. ■ 💬 인증 후기 또는 배운 점👉 수익/손실을 통해 느낀 점, 멘토 강의나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등 또사이선생님과 같이 공부하면서 많이 발전할수 있었습니다. 개인에 맞는 매매법, 장,단점들, 개인에 맞는 심법 등 을 항상 꼼꼼히 챙겨주셔서 지금까지 올수 있었습니다. 항상 감사드리고 또 감사드립니다. ※ 주의사항 1. 수익 인증과 무관한 내용으로 작성된 글은 예고 없이 삭제되거나 이동될 수 있습니다.2. 동일 혹은 유사한 게시글로 도배하는 경우, 해당 글은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또사이선생 멘토님 수익인증입니다:)
    ■ 📷 인증 이미지 첨부 (1장이상 필수)👉 캡처, HTS화면, 매매 내역 등 가능하면첨부해주세요■ 📈 투자 멘토👉 [멘토명 입력] 또사이선생■ 🧾 인증 종목 또는 자산👉 예: 삼성전자 / 나스닥 ETF / 비트코인 등 우리기술 ■ 💰 수익률👉 예: +17.3%, -3.2% (수익 또는 손실 모두 가능) +11,48%■ 🕐 투자 기간👉 예: 2025.04.01 ~ 2025.05.15 20251027-20251029■ 🧠 투자한 이유 / 전략👉 어떤 근거와 판단으로 매수했는지 작성해주세요 멘토님 시초 종배종목이었습니다.■ 💬 인증 후기 또는 배운 점👉 수익/손실을 통해 느낀 점, 멘토 강의나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등 종목선택의 안목을 많이 배우고 싶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주의사항 1. 수익 인증과 무관한 내용으로 작성된 글은 예고 없이 삭제되거나 이동될 수 있습니다.2. 동일 혹은 유사한 게시글로 도배하는 경우, 해당 글은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또사님방송들으면서 수익이 많이 났습니다^^
    ■ 📷 인증 이미지 첨부 (1장이상 필수)👉 캡처, HTS화면, 매매 내역 등 가능하면첨부해주세요 ■ 📈 투자 멘토👉 [멘토명 입력] 또사이선생■ 🧾 인증 종목 또는 자산👉 예: 삼성전자 / 나스닥 ETF / 비트코인 등 또사님 시초종배 넥스트트레이딩 매매로 자산이 대폭 증가되었습니다■ 💰 수익률👉 예: +17.3%, -3.2% (수익 또는 손실 모두 가능) +2.9%■ 🕐 투자 기간👉 예: 2025.04.01 ~ 2025.05.15 2025.0101~2025.1028 ■ 🧠 투자한 이유 / 전략👉 어떤 근거와 판단으로 매수했는지 작성해주세요 넥스트트레이딩이라는것이 생기고 다들 생소할 시점에 또사님의 한발빠른 공략으로 매수타점잡아서 정규장시작전 많은수익을 냈습니다. 시초종배또한 20일중 15일이상 수익내시는걸 보고 어떤종목들을 고르시는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많은기법들이 있지만 200일선아래에서 장대양봉나오는 종목들 관심종목에 넣어두고 눌림목매매하니 손익비가 잘 나왔던것 같습니다. ■ 💬 인증 후기 또는 배운 점👉 수익/손실을 통해 느낀 점, 멘토 강의나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등 또사님방송들으면서 주식은 심리적인 부분이 중요하다는것을 매번 느낍니다. 수익도 중요하지만 잃지않고 수익금을 지키는매매를 하려고 노력합니다. 매수금액이 자신의 그릇에 맞는만큼 비중조절을 하는부분이 매우매우중요한것 같습니다. 9월10월은 너무 방어적으로 매매해서 약간 포모가 오지만 그래도 수익낸걸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1억4천이라는 금액이 찐 수익금이 아니고 아직도 원금회복안된 복구중인 상태입니다~작년에 혼자서 다 말아먹고 또사님만나서 이제 거의 복구 다해갑니다. 그러니 저숫자에 부러워들은 마세요ㅎㅎㅎ

지금 바로 읽어둬야 하는 시황 이슈

새로운 인사이트를 가져다 줄 실시간 시황을 만나보세요.

  • NEW
    [리포트] 아마존이 꿈꾸는 미래: '피지컬 AI'로 완성되는 세계
    아마존 생태계 구조 – "커머스 위에 AWS와 광고가 얹힌 3단 엔진" 아마존의 사업 구조는 크게 3개 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커머스(리테일 + 셀러 서비스) - 매출 덩치 담당 여기에는 우리가 잘 아는 쇼핑몰이 포함됩니다. 온라인 스토어(직접 판매) 서드파티 셀러 서비스(FBA, 물류·수수료) Whole Foods/Fresh 등 오프라인 유통 2024년 Q4 기준 북미 부문 매출은 1,156억 달러(전년 대비 +10%), 국제 부문은 434억 달러(+8%) 로 여전히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지만, 마진은 상대적으로 얇습니다. 아마존은 이 덩치를 기반으로 고객을 끌어모으고, 데이터와 트래픽을 확보합니다. ② 구독·프라임 생태계 - 고객 락인(lock-in) 담당 Prime 멤버십 Prime Video / Music Amazon Photos / Gaming 프라임을 쓰는 순간 소비자는 단순 쇼핑 이용자가 아니라 아마존 생태계의 '생활권'으로 편입됩니다. 프라임 가입자는 평균 구매 건수가 비가입자보다 압도적으로 높고, 아마존의 전체 트래픽과 셀러 수익성을 끌어올리는 핵심 축입니다. ③ AWS + 광고 - 아마존의 진짜 돈줄(고마진 엔진) AWS 클라우드는 아마존이 벌어들이는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는 고마진 사업입니다. 2024년 Q4 AWS 매출: 288억 달러 (+19% YoY) 2024년 Q3 AWS 영업이익률 38% 달성 - 적어도 2014년 이후 최고 기록 AWS 영업이익 104.5억 달러는 아마존 전체 이익의 60%를 차지 광고 사업은 매출 성장률이 가장 높은 사업부 중 하나입니다. 즉, 아마존은 단순히 "싸고 빠른 쇼핑몰"이 아니라 거대한 커머스 트래픽을 기반으로 AWS(클라우드)와 광고(마진) 두 축을 키우는 생태계형 비즈니스입니다. 이 구조가 하나로 묶이면서 경쟁사가 따라올 수 없는 생태계가 만들어집니다. 왜 아마존은 '피지컬 AI'에 모든 걸 걸고 있는가? 아마존 투자자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질문입니다. 아마존의 가장 큰 비용은 어디에서 나올까? 정답은 명확합니다. 물류. 배송. 창고 운영. 라스트마일. 반품 처리. 아마존은 매년 수백억 달러를 이 영역에서 씁니다. 그래서 단순히 텍스트를 요약하는 AI보다 실제로 움직이는 AI, 즉 피지컬 AI(Physical AI)를 가장 먼저 대규모로 도입하는 기업이 되었습니다. ① 지능형 로봇 팔 - "사람보다 덜 실수하는 로봇" 아마존 물류센터는 크기도 다르고, 재질도 다르고, 파손 가능성도 다른 수백만 가지 상품을 분류해야 합니다. Vulcan 로봇은 물리 AI 기술을 활용해 재고 포드 내 물체를 쉽게 조작하며, 접촉 시점과 힘의 정도를 인지하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멈출 수 있습니다. 이는 피킹 속도·정확도·안전성이 모두 향상되고, 인력 의존도가 감소하며, 운영비 절감 효과가 큽니다. (25-07-02) 아마존은 곧 인간보다 더 많은 로봇을 고용할 것입니다 Amazon will soon employ more robots than humans: report ② 디지털 트윈 & AI 오케스트레이션 - "AI가 센터 전체를 운영한다" DeepFleet이라는 생성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이 로봇 이동을 조율하여 효율성을 10% 향상 시킵니다. 물류센터를 통째로 시뮬레이션 모델로 만들고, AI가 수백만 가지 시나리오를 돌려 운영 속도를 최적화합니다. 병목이 어디에 생기는지 로봇이 어떤 경로로 움직여야 부딪치지 않는지 어떤 시간대에 어떤 재고를 미리 준비해야 하는지 예전에는 사람이 분석하던 문제를 이제는 AI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실행합니다. (25-07-01) 딥플릿 AI Amazon deploys over 1 million robots and launches new AI foundation model ③ 차세대 물류센터 - "25% 더 빠른 처리 속도"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의 차세대 물류센터는 기존 센터보다 10배 많은 로봇을 갖추고 있으며, 운영 효율성이 25% 향상될 것으로 추정 됩니다. 2026년 말까지 약 40개 물류센터가 로봇 장비를 갖추며, 연간 최대 40억 달러의 비용 절감이 예상 됩니다. (25-10-23) 아마존 배송: 로봇, AI 도구,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은 새로운 혁신 Amazon delivery: New innovations like robots, AI tools, smart glasses, and more ④ 자율 배송 실험 - "라스트마일 혁신의 시작" 아마존은 마지막 1km, 즉 라스트마일 비용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 중입니다. 자율주행 카트(Scout) 드론 배송 Prime Air (2024년 11월 피닉스 지역 시작, 2025년 11월 샌안토니오 확대) 전기 배송 밴 지역 마이크로 물류 허브 다만, 드론 배송의 실제 비용은 패키지당 $63 수준으로 예상(2025년 기준)되어 경제성 확보는 여전히 과제 입니다. 아마존은 이를 장기 R&D 프로젝트로 접근하고 있고 궁극적 목표는 "사람 개입을 최소화한 End-to-End 공급망" 입니다. 이를 실현하려면 피지컬 AI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아마존이 꿈꾸는 미래 시나리오 아마존이 구축 중인 피지컬 AI 인프라는 결국 다음 3가지 미래를 가리킵니다. ① 초개인화 예측 커머스 쇼핑을 "검색 → 주문"이 아니라 AI가 예상 → 자동 배송 → 필요하면 반품까지 책임지는 구조. 과거 "당일배송" 경쟁이 이제는 "예측 배송(Predictive Shipping)" 경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② 고도 자동화 물류센터 2025년 기준 아마존의 로봇 대수(100만 대 이상)는 전 세계 인력(약 150만 명)에 근접하고 있으며, 2024년 대비 인력은 감소 추세 입니다. 아마존은 다음을 목표로 합니다: 로봇끼리 통신 AI가 스케줄링 피킹·패킹·검수까지 자동화 인간 작업자의 역할을 단순 작업에서 관리·감독으로 전환 아마존 입장에서 이 구조가 완성되는 순간 마진 구조 자체가 재편됩니다. ③ AI 인프라가 다시 피지컬 AI를 강화하는 구조 아마존은 2025년 약 1,000억 달러를 자본 지출(CapEx)에 투자하며, 그 대부분이 AI 인프라에 사용 됩니다. 이는 단순 LLM 비즈니스가 아닙니다. AWS의 AI 인프라 → 아마존 내부의 물류·추천·광고·피지컬 AI에 재투입 → 효율성과 비용 혁신으로 이어짐 → 다시 광고·커머스·AWS가 성장 즉, AI 인프라 투자가 다시 생태계를 강화하는 순환 루프(Flywheel)입니다. 결론 : 아마존은 물리 세계의 운영체제(OS)를 만든다 아마존을 투자 관점에서 보면 결국 다음 한 문장으로 귀결됩니다. 아마존은 커머스 기업이 아니라, 물리 세계를 AI로 자동화하는 '실물 기반 플랫폼 기업'입니다. 커머스: 볼륨 담당 (고객·데이터 확보) AWS: 사실상 '현금창출기' (영업이익의 60%) 광고: 고성장 마진 엔진 피지컬 AI: 비용구조 혁명 + 경쟁력 강화 자율주행: 성장동력 확보 (25-11-19) 美 로보택시 확대…웨이모 운행도시 추가, 아마존 죽스도 가세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핵심 지표 따라서 아마존을 볼 때는 단기 실적 변동보다는 "이 거대한 생태계가 더 단단해지고 있는가?" "AI·물류·클라우드가 서로를 밀어주는 순환 구조가 유지되는가?" "AWS 마진 확대 추세가 지속되는가?" "물류 자동화로 인한 비용 절감이 가시화되는가?" 여기에 집중하는 것이 핵심 시각입니다. 아마존의 피지컬 AI 전략은 지금 이 순간, 실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향후 5-10년 경쟁 우위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 머니서퍼PLUS와 소통하기 쓰레드 https://threads.com/@m_moneysurfer 유튜브 https://www.youtube.com/@Moneysurfer_plus/videos 뉴스레터 https://bit.ly/4oHUst3 텔레그램 (머니서퍼 가장빠른 주식뉴스) https://t.me/+DfszFP4Uq3AyYWZl * 본 자료는 투자자의 주식 투자를 돕기 위해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의한 투자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 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개인 소장을 제외한 무단 배포, 복사, 전재, 수정, 등록 및 전송 등을 금합니다. 위반 시 법적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리포트] 주식 시황 @중요 뉴스
    시장 심층 분석(유럽, 중동, 중국계 외국인 자금 동향) 최근 6개월간 국내외 유럽계 자금의 지속적인 주식 매수세가 확인되고 있습니다(10월 기준 유럽계 누적 순매수 4.5~4.6조원). 특히 영국·아일랜드발 큰 손매수 영향이 두드러진 가운데, 반대로 중동계 자금은 -5,800억~-6,000억원 순매도, 아시아 자금은 일부 순매수가 나타났습니다. 11월 초~중순 이후에는 글로벌 경기 회복 둔화 우려와 함께 외국인 순매수 강도가 약화, 일부 차익실현 물량이 출회되고 있습니다. 중국계 외국인들은 전월까지는 패시브 자금 유입이 강했으나, 11월 들어 아시아 전체에서는 조정 및 일부 자금 유출이 감지됩니다. ​ 법안의 각주 (금일 기준, 증시에 중대한 변곡을 줄 만한 신규 산업/경제 법안 혹은 정책 변화 포착 정보 없음) ​ 상식의 균열(금, 유가, 국채 금리 등 주요 자산 간 이례적 신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4.14%로 보합권에서 소폭 하락, 국내 국고채(3년/10년)는 각각 2.874%, 3.272%로 금리 인하 기대가 약간 반영. 원유(WTI, Brent)는 각각 59.43$/b, 64.2$/b로 약세. 글로벌 증시 동반 조정에서도 국채 금리와 유가 모두 하락 흐름을 나타내, 전통적 위험회피 심리가 유입 중이나, 전체적으로는 리스크오프/온 신호 혼선이 커지고 있습니다. ​ ☀️ 개장 전 시장 동향: 미국 특징주 요약, 중국 증시 개장 전 동향(또는 휴장 정보) 미국 증시는 11월 18일(현지시간 마감) 기준 기술주 중심 약세, AI 거품 및 실적 경계 심리로 다우 -1.18%, 나스닥 -0.84%, S&P500 -0.92% 하락 마감.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둔 투자 심리 위축 및 기술주 고평가 논란이 부각. 중국 증시는 전일(11월 18일) 상해종합 -1.0%, 심천종합 -0.4% 하락 마감. 개장 전 업종별 혼조 분위기 예상, 테크·헬스케어 강세 속 부동산·제조업 중심 약세 지속. ​ 🌙 전일 시장 마감 특징주: 미국 증시 & 어제 중국 증시 테마와 개별 특징주 5가지씩(테마, 등락률, 원인 분류) ​ 미국 증시 (2025년 11월 18일 마감 기준) 테마/종목 등락률 주요 원인 및 분류 AI 반도체(엔비디아) -1.9% 실적 발표 경계 심리, 고평가 논란 빅테크(애플,알파벳) -0.7~-1.2% 밸류 부담·AI 거품론·차익실현 금융주(WFC 등) -0.6% 국채금리 약보합 따른 수익성 우려, 실적주기성 재생에너지(테슬라) -2.2% 금리 하락 대비 약세, 실적 실망 바이오테크(모더나 등) +1.1% 일부 FDA 허가·IR 발표 등 개별 테마 뉴스 부각 ​ 중국 증시 (2025년 11월 18일 마감 기준) 테마/종목 등락률 주요 원인 및 분류 부동산 -1.4% 회복 지연, 경기 둔화 우려 확대 첨단기술(헬스케어) +0.6% 정책적 지원 기대감, 상대적 강세 자동차/전기차 -0.9% 경기 불확실성, 글로벌 수요 둔화 소비재 -0.5% 3분기 성장률 둔화 영향 금융주 -0.7% 대출 성장률 부진 및 우려 ​ 1. 원전 / 전력설비 (UAE 30조 투자) 주요 소식: 한-UAE 정상회담에서 '100년 동행' 선언과 함께 30조 원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투자 유치가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력 및 원전 산업의 장기 호황을 보증하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우진엔텍 (456540), 일진전기 (103590) 주도주: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HD현대일렉트릭 (267260) -- 2. 로봇 / AI 주요 소식: 엔비디아와 삼성전자가 'AI 휴먼(휴머노이드)' 공동 개발을 공식 인정했습니다. 글로벌 AI 대장주와 하드웨어 최강자의 협력은 로봇 산업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입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알에스오토메이션 (140670), 이랜시스 (264850) 주도주: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삼성전자 (005930) -- 3. 리튬 (2차전지 소재) 주요 소식: 중국 탄산리튬 가격이 한 달 새 30% 급등하며 구조적인 반등세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양극재 등 소재 기업의 판가 인상 및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하이드로리튬 (101670), 포스코엠텍 (009520) 주도주: 에코프로비엠 (247540), POSCO홀딩스 (005490) -- 4. 자동차 주요 소식: 자동차 업계의 관세 리스크가 해소된 가운데, LA 오토쇼에서 신차 공개가 예정되어 있어 실적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화신 (010690), 서연이화 (200880) 주도주: 기아 (000270), 현대차 (005380) -- 5. 우주 / 방산 주요 소식: UAE에 한국형 우주발사장 구축 및 150억 달러 규모의 방산 수주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정상 외교와 연계된 프로젝트로 실현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AP위성 (211270), 빅텍 (065450) 주도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LIG넥스원 (079550) -- 6. 타이어 (타이어코드) 주요 소식: 글로벌 SUV 차량의 인기로 인해, 타이어의 내구성을 높이는 핵심 소재인 '타이어코드' 시장의 호황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코오롱인더 (120110) 주도주: 효성첨단소재 (298050) -- 7. 제약 바이오 (비만 & 의료AI) 주요 소식: (비만) 펩트론이 글로벌 제약사와의 대규모 기술이전(L/O) 계약 체결 기대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의료AI)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이 임상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것이라는 기대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펩트론 (087010), 파로스아이바이오 (388870) 주도주: 한미약품 (128940), 유한양행 (000100) ​ 1. 엔터 / 여행 / 카지노 (중국 반사이익) 주요 소식: 중국 내 '한일령(반일 감정)'이 본격화되면서 일본 아이돌 행사와 영화가 줄취소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콘텐츠와 여행 상품이 대체재로 부상하며 강력한 반사이익이 예상됩니다. 또한, 중국이 한국에 우호적인 제스처를 보이며 관광객 유입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여행/면세): 글로벌텍스프리 (204620), 참좋은여행 (094850) 유망주 (엔터/콘텐츠): 큐브엔터 (182360), 키다리스튜디오 (020120) 주도주 (카지노/여행): 파라다이스 (034230), 호텔신라 (008770), 하나투어 (039130) 주도주 (엔터): 에스엠 (041510), JYP Ent. (035900) -- 2. 조선 & 방산 (핵추진 잠수함) 주요 소식: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핵추진 잠수함'에 대해 구체적으로 질문하며 높은 관심을 표명했습니다. 이는 향후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논의나 잠수함 MRO(유지보수) 협력이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자극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기자재/엔진): 비엠티 (086670), STX엔진 (077970) 유망주 (원전/설계): 우리기술 (032820), 우진엔텍 (456540) 주도주 (건조/체계종합): 한화오션 (042660),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SMR/원자로 기술) -- 3. 유가 / 에너지 주요 소식: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면서 국제 유가가 상승 반전했습니다. 에너지 공급망 차질 우려가 관련 기업들의 주가에 긍정적인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석유/가스): 중앙에너비스 (000440), 흥구석유 (024060), 한국석유 (004090) 주도주 (정유/상사): S-Oil (010950), POSCO홀딩스 (005490) (자원개발) -- 4. 암호화폐 (가상자산) 주요 소식: 비트코인이 9만 3천 달러 선을 회복하며 급반등했습니다. 시장의 투자 심리가 살아나면서 관련 주식들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확산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거래소 지분/STO): 갤럭시아머니트리 (094480), 위지트 (036090) 주도주 (투자/기술): 우리기술투자 (041190), 한화투자증권 (003530) ​ ​ 1. 유가증권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11. 가온전선 2,500,433 15 11.20. 범양건영 2,647,838 10 11.20. SK이노베이션 55,299,185 33 11.27. 1 - 11.22. 달바글로벌 1,293,136 10 11.28. 금양 5,917,159 9 11.29. 보령 18,097,207 21 합계 (6개사) 85,754,959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2. 코스닥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2. 유투바이오 5,051,780 45 11.3. 카티스 2,120,864 11 11.3. 민테크 102,500 - 11.4. 뉴로메카 2,200,000 19 11.5. 엘에스마린솔루션 3,962,073 8 11.5. 큐라티스 48,662 - 11.18. 5,000,000 7 11.5. 에이치이엠파마 863,548 12 11.7. 캔버스엔 3,750,000 16 11.7. 퀀텀온 3,533,568 12 11.7. 아이티켐 2,089,502 17 11.7. 토모큐브 1,131,720 8 11.8. 에어레인 2,015,190 25 11.9. 아이톡시 12,349,997 21 11.9. 이엠앤아이 5,510,000 26 11.9. 원일티엔아이 5,716,350 68 11.9. 큐로셀 2,190,000 15 11.9. 메가터치 11,828,700 57 11.11. 에스티큐브 2,771,856 4 11.11. 씨엑스아이헬스케어테크놀리지그룹리미티드 1,234,567 4 11.12. 화일약품 5,997,001 7 11.12. 네오펙트 2,290,950 5 11.12. 노머스 380,803 3 11.13. 수성웹툰 2,052,238 11 11.13. 닷밀 1,768,960 10 11.14. 쓰리빌리언 1,561,560 5 11.14. 지슨 1,909,511 3 11.14. 지투지바이오 17,242 - 11.15. 이렘 10,106,534 16 11.15. 옵트론텍 1,470,000 4 11.15. 씨유메디칼시스템 12,400,000 20 11.15. 티씨머티리얼즈 5,024,206 14 11.15. 캡스톤파트너스 4,636,000 33 11.16. 바이오포트코리아 114,265 3 11.17. 트루엔 4,414,400 40 11.18. 유비온 3,216,855 16 11.18. 캐리소프트 2,805,101 28 11.18. 엑스페릭스 810,701 2 11.18. 엔젯 2,473,320 23 11.18. 삼양컴텍 129,870 - 11.19. 에스엔시스 33,333 - 11.19. 시지메드텍 9,174,311 9 11.19. 에스투더블유 1,297,603 12 11.20. 플루토스투자 7,220,000 11 11.20. 한라캐스트 172,413 - 11.20. 바이오비쥬 1,858,785 12 11.21. 제이피아이헬스케어 514,800 10 11.22. 네오크레마 1,674,642 13 11.22. 인벤티지랩 1,858,698 15 11.24. 그린리소스 8,288,800 50 11.24. 기가비스 7,752,167 61 11.25. 그래피 1,212,260 11 11.27. 삼익제약 153,000 2 11.28. 에이스테크놀로지 18,294,312 24 11.29. 엠젠솔루션 589,391 1 11.29. 팬젠 1,157,545 9 11.29. 푸드나무 6,000,000 17 11.29. 엘에스티라유텍 4,387,504 21 합계 (57개사) 208,689,958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 무료
    [리포트] [공지] 시장 읽는 사람이 수익을 만든다 - 머니서퍼 프리미엄 업그레이드
    안녕하세요, 머니서퍼입니다! 그동안 여러분과 함께 시장을 읽고, 종목을 공부하고, 투자 인사이트를 나누면서 "어떻게 하면 더 실전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해왔습니다. 아침에 시장을 빠르게 파악하고 싶은 분, 퇴근 후 오늘 시장을 제대로 복기하고 싶은 분, 종목 하나를 제대로 공부하고 투자하고 싶은 분, 시장의 큰 흐름을 놓치지 않고 싶은 분. 각자의 투자 스타일과 니즈에 맞는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머니서퍼 콘텐츠를 전면 리뉴얼했습니다. 변경 및 추가되는 내용을 안내드립니다. 💎 유료 구독자만의 특별한 혜택 모닝서프 (기존 장전리포트) 개장 전 시장의 방향을 미리 파악하는 리포트 전날 미국 증시 마감, 아시아 증시 흐름, 국내 이슈를 한눈에 정리 오늘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만 빠르게 파악 출근길, 개장 전 더욱 속도감 있는 아침 콘텐츠 제공 📅 매일 발행 이브닝브레이크 (기존 장마감리포트) 하루 시장을 정리하고 내일을 준비하는 마감 리포트 오늘 시장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섹터별로 복기 수급 흐름, 특징주 움직임, 외국인·기관 매매 동향 분석 퇴근 후 오늘 시장 점검하고 내일 전략 세우기에 최적화 📅 매일 발행 이제는 오직 유료 구독자분들 한정으로 제공 매일 시장 마감 후 당일 시장 전체를 분석하고 정리하는 작업으로 고퀄리티의 복기 리포트입니다. 📚 추가되는 프리미엄 독점 콘텐츠 마켓 딥다이브 거시·미시 지표를 함께 읽는 심층 분석 리포트 단순 시황을 넘어 '왜 시장이 이렇게 움직이는가'를 해석 금리, 환율, 정책, 경기 사이클 등 구조적 흐름 분석 시장의 큰 그림을 보고 싶을 때 읽는 리포트 서학 종목노트 월가가 주목하는 종목의 비즈니스 모델·트렌드 분석 미국 빅테크, AI, 반도체, 클라우드 등 핵심 산업 종목 해부 단순 뉴스가 아닌 비즈니스 모델, 수익 구조, 경쟁력 분석 "이 회사가 왜 오르는지" 제대로 공부하고 싶은 서학개미를 위한 실전 노트 동학 종목노트 국내 주도 섹터의 핵심 포인트 학습 지금 시장을 이끄는 국내 테마·섹터의 대장주 분석 수급 타이밍, 산업 사이클, 실적 모멘텀 체크 단기 대응과 중장기 관점을 모두 고려한 실전형 콘텐츠 AI 종목노트 55만 유튜버 ‘주식단테’ 검색식이 포착한 종목 시그널과 시장 데이터 해석 주식단테 검색식이 선별한 추천 종목과 그 근거를 명확하게 공개 검색식이 잡은 수급·가격·거래 패턴을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게 설명 감이 아닌 조건·데이터·로직으로 종목을 접근하고 싶을 때 핫머니 테마 단기 자금이 몰리는 테마와 섹터를 포착하는 리포트 지금 시장에서 돈이 어디로 움직이는지 추적 단기 순환매·중기 테마 흐름 분석 시장 분위기와 모멘텀 트레이딩에 관심 있는 투자자에게 강추! 머니 아카이브 이전까지 작성된 머니서퍼의 기록 보관소 과거 발행된 모든 콘텐츠를 보관해둔 보관소 특정 시점 시장 분석이나 종목 리포트 다시 찾아보기 가능 과거 분석과 현재 시장 비교하며 투자 인사이트 확장 💎 프리미엄 구독, 왜 필요할까요? 매일 아침·저녁, 완벽한 투자 루틴 모닝서프 + 이브닝브레이크 = 하루 시장 완전 정복 출근 전 오늘 시장 준비하고, 퇴근 후 10분으로 오늘 시장 복기 완료. 매일 반복하면 시장 감각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혼자서 복기하려면 1-2시간 걸리는 작업을 전문가가 정리해서 10분 만에 전달합니다. 종목 하나를 제대로 공부하는 법 서학·동학·AI 종목노트 = 월가 애널리스트급 분석 커뮤니티 소문이나 유튜브 테마주가 아닌, 비즈니스 모델부터 수급까지 완벽 이해하고 투자하세요. 제대로 공부한 한 종목이 포트폴리오 전체를 바꿉니다. 확신 있는 투자는 수익률도, 멘탈도 다릅니다. 시장 흐름 먼저 읽기 마켓 딥다이브 + 핫머니 테마 = 선제적 대응 금리가 오르면? 달러가 강해지면? 자금이 어디로 몰릴까? 거시 흐름과 단기 자금 이동을 동시에 파악하면 남들보다 한 발 먼저 기회를 포착하고, 리스크는 미리 회피합니다. 타이밍이 전부인 시장에서, 정보는 곧 수익입니다. 🎯 이런 분들께 강력 추천 ✅ 직장인 투자자: 시간은 없지만 제대로 투자하고 싶은 분 ✅ 성장형 투자자: 종목 공부하며 실력 키우고 싶은 분 ✅ 전략적 투자자: 시장 흐름 읽고 선제 대응하고 싶은 분 ✅ 진심인 투자자: 투자를 공부로 접근하는 분 단 한 번의 실수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구독료는 회수됩니다. 💡 달라지는 투자 루틴 모닝서프로 아침 점검 → 이브닝브레이크로 복기 완료 → 종목노트로 공부 → 마켓 딥다이브로 큰 그림 파악 → 확신 있는 투자 정보는 넘쳐나지만, 제대로 된 인사이트는 희소합니다. 머니서퍼는 단순 정보 제공이 아닌, 여러분의 투자 실력 자체가 성장하도록 돕겠습니다. 시황만 쫓는 투자에서 벗어나, 제대로 공부하고 이해하며 수익 내는 투자자로 성장하세요. 머니서퍼 프리미엄과 함께, 한 단계 성장한 투자자가 되어보세요. 감사합니다. 🌊
  • [리포트] 클라우드와 AI 시대의 '든든한 국밥 주식', 마이크로소프트
    Copilot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수익 모델 최근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부분이 바로 AI 통합입니다.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Copilot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AI 어시스턴트는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등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오피스 프로그램에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단순히 문서를 정리해주는 수준이 아니라, 복잡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프레젠테이션 초안을 만들어주며, 이메일을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이것이 왜 중요할까요? 수익 구조가 바뀌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오피스 365 구독료만 받았다면, 이제는 Copilot이라는 프리미엄 AI 기능에 대해 추가 비용을 청구할 수 있게 됐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수억 명의 오피스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중 일부만 Copilot을 구독해도 엄청난 추가 매출이 발생합니다. 이미 확보된 고객 기반 위에 새로운 수익원을 쌓아 올리는 구조인 셈입니다. 더구나 한 번 마이크로소프트 생태계에 들어온 기업 고객은 쉽게 떠나지 않습니다. 전 직원이 오피스를 쓰고, Azure로 클라우드를 운영하며, 다이내믹스로 고객관리를 하는 상황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갈아타는 것은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듭니다. 이런 '락인 효과'는 경기가 나빠져도 마이크로소프트의 매출이 크게 흔들리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밸류에이션, 비싸긴 한데 그만한 이유가 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약 507달러 수준이며, 시가총액은 무려 3.7조 달러에 달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항상 고민되는 부분이 "이 정도 가격이면 너무 비싼 거 아닌가?"라는 질문일 텐데요. 밸류에이션 지표를 보면, 마이크로소프트의 예상 주가수익비율(PER)은 약 36배로, 대형 기술주 평균인 30배보다 다소 높습니다. 매출 대비 시가총액을 나타내는 PSR도 12배로 업계 평균 10배를 상회하고 있습니다.숫자만 보면 분명 프리미엄이 붙어 있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이 프리미엄이 정당한가 하는 점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단순히 큰 회사가 아니라, 성장하는 큰 회사입니다. Azure의 성장률은 여전히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고, AI 통합으로 인한 추가 성장 여력도 충분합니다. 게다가 높은 영업이익률과 현금 창출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자사주 매입과 배당을 늘리고 있어, 주주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돌려주고 있습니다. 눈여겨봐야 할 리스크들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투자에는 항상 위험이 따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게도 크게 두가지 리스크가 있습니다. 첫째, 거시경제 환경입니다.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 기업들이 IT 지출을 줄이게 되고, 이는 클라우드나 소프트웨어 구독에 대한 수요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23년에는 많은 기업이 비용 절감 차원에서 클라우드 지출을 최적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라고 이런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둘째, 경쟁입니다. 아마존, 구글, 오라클 같은 강력한 경쟁자들과의 경쟁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AI 분야에서는 오픈AI와의 협력 관계가 변화할 가능성도 잠재적 리스크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핵심 정리 결국 마이크로소프트는 AI와 클라우드라는 두 가지 거대한 트렌드의 교차점에 서 있는 기업입니다. 기술 혁명을 이끌면서도, 수십 년간 쌓아온 기업 고객 기반이라는 든든한 토대 위에 서 있습니다. 밸류에이션이 저렴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과 강력한 경쟁 우위를 고려하면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는 수준입니다. 핵심 요약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Azure)와 AI(Copilot) 통합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 기업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강력한 락인 효과로 경기 변동에도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 밸류에이션은 업계 평균 대비 높지만, 성장성과 경쟁 우위를 고려하면 정당화 가능한 수준 거시경제 불확실성, 규제 강화, 경쟁 심화라는 리스크 요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은 필수 장기 투자 관점에서 기술 혁명의 수혜를 누릴 수 있는 핵심 메가캡 플랫폼 기업 🙋 머니서퍼PLUS와 소통하기 쓰레드 https://threads.com/@m_moneysurfer 유튜브 https://www.youtube.com/@Moneysurfer_plus 뉴스레터 https://bit.ly/4oHUst3 텔레그램 (머니서퍼 가장빠른 주식뉴스) https://t.me/+DfszFP4Uq3AyYWZl * 본 자료는 투자자의 주식 투자를 돕기 위해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의한 투자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 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개인 소장을 제외한 무단 배포, 복사, 전재, 수정, 등록 및 전송 등을 금합니다. 위반 시 법적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리포트] 주식 시황 @중요 뉴스
    시장 심층 분석(유럽, 중동, 중국계 외국인 자금 동향) 2025년 11월 17일 유럽 주요 지수는 혼조세를 보였으며, 미국 증시 하락 영향과 AI 기술주 변동성 확산이 배경이 되었습니다. 중동 지역은 은행주와 부동산, 건설업종 중심으로 현금 흐름 유입이 있었고, 베트남 VN 지수는 1.16% 상승하며 강한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중국 증시는 최근 일본과의 갈등 심화로 하락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정부 부양책 기대와 규제 완화에 힘입어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중국계 외국인 자금은 주요 섹터 중심으로 매수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MCHI ETF 자산 규모는 81억 5,900만 달러, 연초 대비 18.06%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법안의 각주(중요 산업/경제 법안 포착 시에만 특별 분석) 이번 일정에서는 특별히 주목할 만한 중요한 산업 및 경제 법안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 상식의 균열(금, 유가, 국채 금리 등 주요 자산 간 이례적 신호) 최근 시장에서는 AI 관련 주식들의 가치 평가 논란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있으며, 연준의 12월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 후퇴가 시장 불안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금, 유가, 국채 금리 간에는 아직 이례적인 신호는 포착되지 않았으나, 투자자들이 AI 섹터에 대해 냉철한 시각을 유지하며 장기 성장 기대와 단기 조정이 혼재되고 있습니다. -- ☀️ 개장 전 시장 동향: 미국 특징주 요약, 중국 증시 개장 전 동향(2025년 11월 17일 마감) 미국 증시는 11월 17일 AI 관련 기술주 논란으로 혼조세를 보였으며, 다우지수는 1.18% 하락, S&P 500은 0.92% 하락, 나스닥은 0.84%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대한 경계감이 존재합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 후퇴 신호가 투자 심리를 악화시켰습니다. 중국 증시는 11월 17일 상해종합지수 0.5% 하락하며 3,972.03에 마감했고, 홍콩 항셍지수도 0.7% 하락했습니다. 일본과의 갈등 심화가 단기 부정적 요인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정책 기대감과 외국인 자금 유입 모멘텀이 존재합니다. -- 🌙 전일 시장 마감 특징주: 미국 증시 & 어제 중국 증시 테마와 개별 특징주 5가지씩(테마, 등락률, 원인 분류) 시장 테마 종목(예) 등락률(%) 주요 원인 미국 (2025년 11월 17일 마감) AI 기술주 엔비디아 등 -0.8 ~ -1.5 AI 버블 논란, 실적 경계 경기민감주 다우존스 30 산업평균 -1.18 연준 금리 인하 기대 후퇴 소비재 아마존, 월마트 혼조 소비 지표와 공급망 우려 헬스케어 존슨앤존슨 약 보합 안정적 배당주 수요 상승 에너지 셰브런 등 소폭 하락 유가 변동성 영향 | 중국 (2025년 11월 17일 마감) | 금융주 | 중국 공상은행 등 | -0.5 ~ -0.7 | 일본과의 지정학적 긴장 심화 | | | 부동산 | 헝다, 비프로퍼티 | 안정적 | 정책 지원 기대감 약화 | | | 소비재 | 메이투안, 알리바바 | 혼조 | 소비 회복 지연 우려 | | | 반도체 | SMIC 등 | 약세 | 미중 무역 갈등 장기화 우려 | | | 공공투자 | 인프라 관련 종목 | 강세 | 정부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 | 이번 특징주들은 각각 시장의 거시 경제 환경과 지정학적 요인, 정책 기대감 및 주요 기업 실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입니다. ​ 1. 2차전지 (ESS & LFP) 주요 소식: LG에너지솔루션이 ESS(에너지저장장치)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의 국내 첫 양산을 추진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아모그린텍 (125210) (ESS 핵심 부품인 자성부품 공급) 주도주: LG에너지솔루션 (373220) (LFP 양산의 주체) -- 2. 제약/바이오 (플랫폼 기술) 주요 소식: 에이비엘바이오가 자사의 뇌혈관장벽(BBB) 투과 플랫폼 기술을 비만 치료제 분야로 확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글로벌 제약사들의 한국 바이오 플랫폼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펩트론 (087010) (장기지속형 약물전달 플랫폼 보유) 주도주: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BBB 투과 기술 보유 및 기술이전 이력) -- 3. 우주항공 주요 소식: 민간 기업이 체계종합기업으로 처음 참여하는 '누리호' 발사가 열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는 우주 산업의 민간 주도 성장(뉴스페이스)을 알리는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AP위성 (211270) (위성 본체 및 지상국 시스템, 발사 테마 민감도 높음) 주도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누리호 엔진 제작 및 체계 종합) -- 4. OLED (디스플레이) 주요 소식: LG디스플레이가 내년 OLED 시장 호황에 힘입어 2년 연속 흑자 달성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선익시스템 (171090) (OLED 증착 장비, 마이크로 OLED 핵심 기술) 주도주: LG디스플레이 (034220) (업황 턴어라운드의 주인공) -- 5. 동박 & 리튬 (소재) 주요 소식: SKC의 동박 판매량이 1만 톤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 리튬 업체들이 내년 수요가 30%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중앙첨단소재 (000440) (리튬염 등 전해액 소재 유통) 주도주: SKC (011790) (글로벌 동박 시장 선도) -- 6. 의료AI (신약개발) 주요 소식: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신약 개발 과정에 AI(인공지능)를 접목하는 시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파로스아이바이오 (388870) (AI 기반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주도주: 신테카바이오 (226330) (AI 신약개발 플랫폼 전문) ​ 네, 알겠습니다. 11월 18일 시장의 주요 재료들을 바탕으로, 전문가용 분석 용어를 제외하여 외부 공개용 자료로 최종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금주 시장 핵심 테마 및 관련 기업 현황 (외부 공개용) 1. 여행 / 카지노 (반사이익) 주요 소식: 중국 내 '반일 감정' 확산으로 일본행 항공권 49만 장이 취소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이 여행 대체지로 부상하며 관광 및 카지노 업계의 반사이익이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글로벌텍스프리 (204620), 롯데관광개발 (032350) 주도주: 파라다이스 (034230), 호텔신라 (008770) -- 2. 방산 (Defense) 주요 소식: 이재명 대통령과 UAE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개최됩니다. 이번 회담에서 구체적인 방산 협력 MOU 체결 및 수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빅텍 (065450) 주도주: LIG넥스원 (0795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 3. 핑크퐁 (아기상어 IPO) 주요 소식: 글로벌 인기 IP '아기상어'의 제작사인 더핑크퐁컴퍼니가 증시 상장(IPO)을 본격화한다는 소식입니다. 관련 지분을 보유한 기업들의 가치 재평가가 예상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주도주: 삼성출판사 (068290) (2대 주주) -- 4. 정유 / 화학 주요 소식: 정제마진 호조에 힘입어 정유주들의 4분기 실적 전망치가 일제히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업황이 바닥을 찍고 턴어라운드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흥구석유 (024060) 주도주: S-Oil (010950), SK이노베이션 (096770) -- 5. 엔터테인먼트 주요 소식: 하이브가 내년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이라는 증권가의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YG PLUS (037270) 주도주: 하이브 (352820) -- 6. 의류 (Apparel) 주요 소식: 예년보다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단가가 높은 겨울 아우터(외투) 매출이 급증하는 등 패션업계에 특수가 기대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더네이쳐홀딩스 (298540) 주도주: F&F (383220), 영원무역 (111770) -- 7. 콘텐츠 주요 소식: 중국 내 일본 콘텐츠 제재 움직임에 따라, 한국 드라마 및 웹툰 IP가 대체재로 부각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키다리스튜디오 (020120), 팬엔터테인먼트 (068050) 주도주: 스튜디오드래곤 (253450), CJ ENM (035760) ​ ​ ​ ​ 1. 유가증권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11. 가온전선 2,500,433 15 11.20. 범양건영 2,647,838 10 11.20. SK이노베이션 55,299,185 33 11.27. 1 - 11.22. 달바글로벌 1,293,136 10 11.28. 금양 5,917,159 9 11.29. 보령 18,097,207 21 합계 (6개사) 85,754,959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2. 코스닥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2. 유투바이오 5,051,780 45 11.3. 카티스 2,120,864 11 11.3. 민테크 102,500 - 11.4. 뉴로메카 2,200,000 19 11.5. 엘에스마린솔루션 3,962,073 8 11.5. 큐라티스 48,662 - 11.18. 5,000,000 7 11.5. 에이치이엠파마 863,548 12 11.7. 캔버스엔 3,750,000 16 11.7. 퀀텀온 3,533,568 12 11.7. 아이티켐 2,089,502 17 11.7. 토모큐브 1,131,720 8 11.8. 에어레인 2,015,190 25 11.9. 아이톡시 12,349,997 21 11.9. 이엠앤아이 5,510,000 26 11.9. 원일티엔아이 5,716,350 68 11.9. 큐로셀 2,190,000 15 11.9. 메가터치 11,828,700 57 11.11. 에스티큐브 2,771,856 4 11.11. 씨엑스아이헬스케어테크놀리지그룹리미티드 1,234,567 4 11.12. 화일약품 5,997,001 7 11.12. 네오펙트 2,290,950 5 11.12. 노머스 380,803 3 11.13. 수성웹툰 2,052,238 11 11.13. 닷밀 1,768,960 10 11.14. 쓰리빌리언 1,561,560 5 11.14. 지슨 1,909,511 3 11.14. 지투지바이오 17,242 - 11.15. 이렘 10,106,534 16 11.15. 옵트론텍 1,470,000 4 11.15. 씨유메디칼시스템 12,400,000 20 11.15. 티씨머티리얼즈 5,024,206 14 11.15. 캡스톤파트너스 4,636,000 33 11.16. 바이오포트코리아 114,265 3 11.17. 트루엔 4,414,400 40 11.18. 유비온 3,216,855 16 11.18. 캐리소프트 2,805,101 28 11.18. 엑스페릭스 810,701 2 11.18. 엔젯 2,473,320 23 11.18. 삼양컴텍 129,870 - 11.19. 에스엔시스 33,333 - 11.19. 시지메드텍 9,174,311 9 11.19. 에스투더블유 1,297,603 12 11.20. 플루토스투자 7,220,000 11 11.20. 한라캐스트 172,413 - 11.20. 바이오비쥬 1,858,785 12 11.21. 제이피아이헬스케어 514,800 10 11.22. 네오크레마 1,674,642 13 11.22. 인벤티지랩 1,858,698 15 11.24. 그린리소스 8,288,800 50 11.24. 기가비스 7,752,167 61 11.25. 그래피 1,212,260 11 11.27. 삼익제약 153,000 2 11.28. 에이스테크놀로지 18,294,312 24 11.29. 엠젠솔루션 589,391 1 11.29. 팬젠 1,157,545 9 11.29. 푸드나무 6,000,000 17 11.29. 엘에스티라유텍 4,387,504 21 합계 (57개사) 208,689,958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 [리포트] 주간 미국주식 스페셜 투자레터 11.17 (by. 팀셰르파)
    최장기 셧다운 해제에도 주춤... AI 거품론도 악재. 엔비디아 발표에 촉각. 반등 실패 후 찾아온 급락세의 핵심 원인은? 트럼프의 서명으로 셧다운이 정식 해제되었으나 시장의 반응은 미적지근하였습니다. 호재가 호재로 인식되지 못하고 더 큰 재료를 기다릴 만큼 시장 심리는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그런 와중에 믿었던 12월 금리인하마저 연준의원들이 유례없이 양쪽으로 갈리면서 불투명해졌습니다. 새로운 호재 없이 기존의 호재가 사라지고 오직 시장을 누르는 AI 과잉투자론만 남아서 테크기업들에 강한 의심을 부여하였습니다. 목요일 투매성 조정 이후 금요일 프리장에서는 급격히 투심이 무너지는 상황이 연출되었으나 다행히 50일선의 지지를 확인한 상황입니다. 주간기준으로 보면 가장 크게 하락한 나스닥도 불과 0.31% 하락했을 뿐이란 것이 놀라울 정도로 개별종목단에서는 AI 종목들의 낙폭과 변동성이 극심했던 한 주였습니다. 과도한 ‘AI 과잉투자 우려’ 어떻게 봐야 할까? 지난주 월요일 반등에서도 소외를 받았던 테크 기업은 바로 메타와 오라클이었습니다. 오픈AI가 만든 상호투자 구조속에서 네오 클라우드 기업은 막대한 수주와 함께 이를 감당하기 위한 자본조달에 들어갔고 AI 데이터센터를 자체적으로만 이용하는 메타는 매출 대비 투자비중을 공격적으로 높이며 역시 회사채를 발행하였습니다. 초기에는 이런 투자에 환호하였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오픈AI의 공격적 투자에 의문을 갖기 시작하였고 비상장 기업인 오픈AI 대신에 지분을 가진 MS, 회사채를 발행한 메타 그리고 마이클 버리의 감가상각 이슈까지 몰아친 코어위브까지 주가 하락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실적발표 당시 놀라운 수주잔고를 발표하며 30% 넘게 급등한 오라클은 이미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추가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바로 그 수주의 대부분이 오픈 AI이었기 때문입니다. 위험지표인 해당기업들의 CDS 프리미엄은 아직까지도 높아지고 있으며 이 수치가 잡히면서 대표적으로 오라클과 메타의 주가가 확실히 반등을 해야지 AI 과잉투자 우려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봅니다. (시간이 지나면 AI 버블론은 가라 앉고 AI 기업들의 펀더멘털을 재차 확인하며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12월 FOMC, 인하일까? 동결일까? 그 영향은? 셧다운이 해제된 상황에서 이번주부터 경제지표가 정상적으로 발표되기 시작하고 이는 12월 FOMC를 정조준하며 시장의 변동성을 만들 것입니다. 특히 이번주 연준의원들의 연설이 대거 예정되어 있는데 어느때보다 인하냐 동결이냐가 첨예하게 갈라진 상황에서 위원들이 어떠한 목소리를 내는지에 따라 12월 FOMC의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질 것입니다. 파월을 비롯한 동결을 주장하는 연준위원들은 대부분 인하가 필요없다기 보다는 셧다운으로 경제지표 확인이 어려운 상황에서 인하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FOMC 이전에 얼마나 많은 지표가 정리되서 나올지는 모르지만 물가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나오고 AI로 인한 인력대체로 고용 악화는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예상컨데 현재는 5:5의 분위기지만 지표들이 부진할 경우 금리인하 가능성을 키울 것이며 만약에 이번에 인하가 되지 않는다고 해도 내년에 이어서 금리인하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미증시 반등의 트리거 포인트 지난주 기술적인 반등의 모멘텀이 확인된 상황에서 시장이 강력하게 믿고 있는 재료는 수요일 장마감 이후 발표될 엔비디아 실적발표일 것입니다. 시장의 분위기가 좋을 때는 기대치가 높기 때문에 만족할만한 결과를 만들기 부담스럽지만 지금과 같이 위축되어 있을 때는 엔비디아 실적발표만큼 확실한 재료가 없습니다. AI 과잉투자 우려가 과도하게 시장을 잠식한 상황이기에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펀더멘털 재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셧다운 이후에 이어질 이번주 고용지표와 투표권을 가진 주요 연준위원들의 연설을 통해서도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습니다. 이번주 반등의 가능성이 높지만 반등장보다는 변동성장으로 인식하고 이에 맞게 대응하는 것이 적절한 선택지 일 것입니다. 이번주에는 무엇을 볼까요? 12월 FOMC 앞두고 연준위원 연설 주목 셧다운 이후 나오는 경제지표에 따른 변동성 확대 주의 엔비디아 실적발표: AI과잉투자 우려 불식할까? 가장 약한고리들: 오라클, 메타, 소프트뱅크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및 실적발표 일정 11월 17일 (월) 19:00 - 샤오펑 (XPEV) 22:30 - 미국 - 11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23:00 - 연준 - 윌리엄스 총재 (중립/투표권 O) 23:30 - 연준 - 재퍼슨 부의장 (매파/투표권 O) 05:35 - 연준 - 월러 이사 (비둘기/투표권 O) 11월 18일 (화) 19:00 - 바이두 (BIDU) 20:00 - 홈디포 (HD) 20:30 - 핀둬둬 (PDD) 23:15 - 미국 - 10월 산업생산 (잠정) ★★ 00:00 - 미국 - 8월 제조업 수주 ★★ 00:30 - 연준 - 바 이사 (중립/투표권 O) 11월 19일 (수) 12:00 - 연준 - 미란 이사 (비둘기/투표권 O) 20:00 - 로우스 (LOW) 00: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 04:00 - 미국 - FOMC 의사록 ★★★ 04:00 - 연준 - 윌리엄스 총재 (중립/투표권 O) 06:05 - 팔로알토 (PANW) 06:20 - 엔비디아 (NVDA) 11월 20일 (목) 21:00 - 월마트 (WMT) 22:30 - 미국 -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 22:30 - 미국 - 9월 비농업 취업자수 ★★★ 22:30 - 미국 - 9월 실업률 ★★★ 22:30 - 미국 - 11월 필라델피아연은 제조업지수 ★★★ 01:00 - 연준 - 쿡 이사 (비둘기/투표권 O) 02:45 - 연준 - 굴스비 총재 (중립/투표권 O) 11월 21일 (금) 08:15 - 연준 - 미란 이사 (비둘기/투표권 O) 21:30 - 연준 - 윌리엄스 총재 (중립/투표권 O) 22:30 - 연준 - 바 이사 (중립/투표권 O) 22:45 - 연준 - 재퍼슨 부의장 (매파/투표권 O) 23:45 - 미국 - 1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23:45 - 미국 - 11월 S&P글로벌 서비스업 PMI ★★★ 23:45 - 미국 - 11월 S&P글로벌 합성 PMI ★★ 00:00 - 미국 -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00:00 - 미국 - 11월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 이번주 전략종목 엔비디아(NVDA): AI 슈퍼사이클, 어닝 플레이 아마존(AMZN): 연말쇼핑시즌 테슬라(TSLA): 주총 호재 반영 기대 팔란티어(PLTR): 호실적 반영 기대 오라클(ORCL): 네오클라우드 대장주 로빈후드(HOOD): 호실적 반영 기대 템퍼스(TEM): 낙폭과대 중소형 혁신주 GE버노바(GEV): AI 전력 수혜 센트러스에너지(LEU): AI 전력 수혜 JP모건(JPM): 금융 대장주력 수혜 뉴코어(NUE): 철강관세 수혜 머크(MRK): 헬스케어 강세 * 본 자료는 투자자의 주식 투자를 돕기 위해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의한 투자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 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개인 소장을 제외한 무단 배포, 복사, 전재, 수정, 등록 및 전송 등을 금합니다. 위반 시 법적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리포트] 주식 시황 @중요 뉴스
    시장 심층 분석(유럽, 중동, 중국계 외국인 자금 동향) 유럽계 자금: 10월 한 달간 4조~4.6조 원 규모가 한국 증시에 순매수로 집계되었고, 최근 6개월 연속 강력한 매수세가 지속되어 보유 비중이 크게 확대 중. 중동 자금: 10월 기준 6천억~1.7조 원 순매도가 감지되며, 환율·금리 불확실성을 반영한 리스크 회피 움직임이 주도적. 중국계 외국인 자금: 2025년 1~10월 506억 달러가 중국 본토·홍콩 증시에 신규 유입되어, 4년 만의 최대 자금 복귀가 기록됨. ​ 법안의 각주(중요 산업/경제 법안 포착 시에만 특별 분석) 오늘 기준, 주요 글로벌 산업/경제 법안 신속 변동 없음. ​ 상식의 균열(금, 유가, 국채 금리 등 주요 자산 간 이례적 신호) 국채·주식 동시 매도세 등으로 최근 4주간 아시아 신흥국에서 22억 달러, 8주간 35억 달러 순유출 발생. 11월 기준 원·달러 환율은 1,453원대에서 강세 유지, 고환율 '뉴노멀' 인식 심화. 외국인은 국채 선물 시장에서 이례적으로 1.5조 원대 대량 매도를 기록하며, 단기 변동성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음. ​ ☀️ 개장 전 시장 동향 ​ 미국 특징주 요약 (2025년 11월 15일 마감) 테마 주요 종목 등락률 원인 구분 AI/반도체 엔비디아, AMD 상승 실적 호조, AI 수요 메가테크(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상승 Copilot·AI, 광고·실적 대형 기술주 엔비디아(1.77%), 오라클(2.43%), 팔란티어(1.09%) 상승 실적 기대·AI 테마 반도체 장비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 1.25% 상승 4분기 실적 호조 자동차/테슬라 테슬라 0.59% 반등 저가 매수 유입 방어주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3.2% 하락 실적 우려 소비재/유통 홈디포 1.6% 하락 소비 둔화 금융주/헬스케어 종목 다수 강세/자금 유입 가치주로 섹터 이동 ​ ​ 중국 증시 개장 전 동향 (2025년 11월 17일) 정상 개장. AI·빅테크, 기술기업, 전기차 관련주 순매수세 유지, 외국인 자금 유입세 계속. 🌙 전일 시장 마감 특징주 ​ 미국 증시 (2025년 11월 15일 마감) 테마/종목 등락률 원인 엔비디아 +1.77% AI 수요, 저가 매수 오라클 +2.43% 빅테크 실적 호조 팔란티어 +1.09% 기술주 반등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 +1.25% 실적 기대 테슬라 +0.59% 낙폭 과대 반등 ​ ​ 중국 증시 (2025년 11월 15일 마감) 테마/종목 등락률 원인 AI·빅테크 +1~3%대 상승 외국인 매수, 실적 기대 전기차 상승 정책 지원, 수출 증가 인터넷·소비주 강세 소비 회복 반도체 혼조 공급망·실적 변수 소재·건설 약세 경제 지표·투자 축소 ​ ​ 미국 증시 (2025년 11월 15일 마감): 특징주 및 테마별 원인 심층 분석 1. AI·반도체/빅테크 등락률: 엔비디아 +1.77%, 오라클 +2.43%, 팔란티어 +1.09% 원인: 전날 급락(-3~5%) 이후 AI·빅테크는 일부 반등세. 시장 내 ‘AI 버블 논란’과 연준 금리인하 기대 후퇴, 변동성 확대가 핵심 이슈. 실적 기대, AI 수요·광고 실적 등이 반등세 주도. 매물대 집중구간에서 저가 매수 유입. 성장 모멘텀은 유지하되 기술주의 단기적 변동성 커짐. 2. 장비/자동차 반도체 장비: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 +1.25% 자동차: 테슬라 +0.59% 원인: 반도체 장비는 실적 호조에 따른 기대감 테슬라는 낙폭과대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 3. 방어주·필수소비재/헬스케어 방어주(유나이티드 헬스케어): -3.2% 하락 소비재(홈디포): -1.6% 하락 원인: 실적 부진, 소비 둔화로 영향. AI·빅테크 매도세 자금 일부가 헬스케어·필수소비로 이동 4. 금융주/가치주 금융·가치주: 강세 원인: 셧다운 해제 기대감(정책적 호재) 및 단기금리 변화, 고평가 기술주에서 저평가 가치주로 자금 수급 이동 5. 옵션·변동성 테마 시장 내 변동성 급증, 기술주 옵션·인버스 상품 거래량 증가. 배당·방어 섹터 50% 이상 포트 재편 흐름 ​ 중국 증시 (2025년 11월 15일 마감): 특징주 및 테마별 원인 심층 분석 1. AI·빅테크·기술주 등락률: +1~3%대 상승 원인: 외국인 매수세 확산, 정부 유동성 지원 정책, AI·반도체 업종 성장 기대. 글로벌 무역경계 완화, 기술기업 실적·투자심리 개선 2. 전기차 상승(구체적 등락률 미공개) 원인: 정책적 지원(보조금), 수출 증가, 산업 성장 모멘텀 강화 3. 인터넷/소비 강세 원인: 내수 소비 회복, 온라인 유통 성장 4. 반도체/핀테크 혼조 원인: 공급망 변수, 개별 기업 실적 차이 5. 소재·건설 약세 원인: 경제지표 둔화, 투자 축소, 내수·부동산 리스크 지속 종합 인사이트 미국: 단기적으로 AI/빅테크 변동성 확대와 가치주, 방어주 포트 이동. 정책 변수(셧다운 해제, 연준 스탠스), 실적 호·부진 이슈가 혼재. 중국: AI·빅테크, 전기차 등 신산업 성장 테마 강세. 정부 정책과 외국인 자금 유입, 소비 회복, 무역경계 완화가 모멘텀. ​ 1. HBM & 반도체 주요 소식: SK하이닉스가 HBM4 기술을 선도하는 가운데, 삼성전자도 평택 5라인 건설을 재개하며 대규모 투자에 나섭니다. 삼성전자가 **'AI데이터센터-반도체-전고체 배터리'**에 450조 원을 투자하는 미래 계획이 알려졌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디아이 (003160), 이수페타시스 (007660) 주도주: 한미반도체 (042700), SK하이닉스 (000660), 삼성전자 (005930) -- 2. 전선 & 전력설비 주요 소식: LS그룹의 수주잔고가 10조 원을 돌파하며 '슈퍼 사이클'을 증명했습니다. 삼성이 AI 데이터센터를 미래 핵심 사업으로 선정하며, 관련 전력 인프라 수요의 구조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제룡전기 (033100) 주도주: 대한전선 (001440), LS (006260), HD현대일렉트릭 (267260) -- 3. 2차전지 & 전고체 주요 소식: 테슬라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중국산 부품을 전면 배제하기로 추진하면서, 국내 공급망의 반사 수혜가 기대됩니다. 삼성이 AI 시대에 맞춰 전고체 배터리를 핵심 미래 동력으로 선정하고 대규모 투자를 계획 중입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한농화성 (011500), 엔켐 (348370), 대주전자재료 (078600) 주도주: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57190), 에코프로비엠 (247540), 삼성SDI (006400), LG에너지솔루션 (373220) -- 4. 자동차 & 로봇 & 수소 & AI 소프트웨어 주요 소식: 현대자동차그룹이 5년간 국내에 125.2조 원이라는 역대 최대 규모를 투자해 AI, 수소, 로봇 분야를 전면 배치합니다. 워런 버핏이 AI 산업에 6조 원을 베팅하고, 현대차가 로봇 공장 구축을 시작하는 등 AI와 로봇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AI S/W): 이스트소프트 (047560) 유망주 (로봇): 에스피시스템스 (317830) 유망주 (수소): 범한퓨얼셀 (382900) 주도주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두산로보틱스 (454910) 주도주 (AI/자율주행): 현대오토에버 (307950) 주도주 (AI): NAVER (035420) 주도주 (완성차): 현대차 (005380) -- 5. 제약 바이오 주요 소식: K-바이오의 플랫폼 기술 수출액이 올해 18조 원을 기록했으며, 연말 추가적인 대규모 기술이전(딜)이 기대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올릭스 (226950) 주도주: 리가켐바이오 (141080), 알테오젠 (196170) 주도주: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 6. 조선 & 원전 주요 소식: 한화오션이 영국과 캐나다에서 MRO(유지보수) 사업을 수주했으며, 원전이 그룹의 핵심 투자처로 재확인되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우진엔텍 (456540), STX엔진 (077970) 주도주: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한화오션 (042660) ​ 1. 석유화학 (Petrochemicals) 주요 소식: 롯데그룹과 HD현대가 석유화학 사업 재편을 금주 내로 확정할 예정입니다. 이는 업계의 공급 과잉 해소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대한유화 (006650) 주도주: 롯데케미칼 (011170), LG화학 (051910) -- 2. 정유 / 유가 (Oil & Refining) 주요 소식: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러시아 주요 항만의 원유 수출에 차질이 생기면서, 4분기 정유사 실적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흥구석유 (024060), 한국석유 (004090) 주도주: S-Oil (010950), GS (078930) -- 3. 지주회사 (기업 밸류업) 주요 소식: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포함하는 3차 상법개정안을 연내에 처리할 것이라는 정책적 의지가 재확인되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SJM홀딩스 (025530) 주도주: SK(주) (034730), 삼성물산 (028260) -- 4. 조선 / 방산 (Shipbuilding & Defense) 주요 소식: 미국 해군 참모총장이 한화오션 거제 조선소를 방문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G20 정상회의에서 '방산 세일즈' 외교를 펼칠 예정입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빅텍 (065450), STX엔진 (077970) 주도주: 한화오션 (042660), HD현대중공업 (32918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 ​ ​ 1. 유가증권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11. 가온전선 2,500,433 15 11.20. 범양건영 2,647,838 10 11.20. SK이노베이션 55,299,185 33 11.27. 1 - 11.22. 달바글로벌 1,293,136 10 11.28. 금양 5,917,159 9 11.29. 보령 18,097,207 21 합계 (6개사) 85,754,959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2. 코스닥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2. 유투바이오 5,051,780 45 11.3. 카티스 2,120,864 11 11.3. 민테크 102,500 - 11.4. 뉴로메카 2,200,000 19 11.5. 엘에스마린솔루션 3,962,073 8 11.5. 큐라티스 48,662 - 11.18. 5,000,000 7 11.5. 에이치이엠파마 863,548 12 11.7. 캔버스엔 3,750,000 16 11.7. 퀀텀온 3,533,568 12 11.7. 아이티켐 2,089,502 17 11.7. 토모큐브 1,131,720 8 11.8. 에어레인 2,015,190 25 11.9. 아이톡시 12,349,997 21 11.9. 이엠앤아이 5,510,000 26 11.9. 원일티엔아이 5,716,350 68 11.9. 큐로셀 2,190,000 15 11.9. 메가터치 11,828,700 57 11.11. 에스티큐브 2,771,856 4 11.11. 씨엑스아이헬스케어테크놀리지그룹리미티드 1,234,567 4 11.12. 화일약품 5,997,001 7 11.12. 네오펙트 2,290,950 5 11.12. 노머스 380,803 3 11.13. 수성웹툰 2,052,238 11 11.13. 닷밀 1,768,960 10 11.14. 쓰리빌리언 1,561,560 5 11.14. 지슨 1,909,511 3 11.14. 지투지바이오 17,242 - 11.15. 이렘 10,106,534 16 11.15. 옵트론텍 1,470,000 4 11.15. 씨유메디칼시스템 12,400,000 20 11.15. 티씨머티리얼즈 5,024,206 14 11.15. 캡스톤파트너스 4,636,000 33 11.16. 바이오포트코리아 114,265 3 11.17. 트루엔 4,414,400 40 11.18. 유비온 3,216,855 16 11.18. 캐리소프트 2,805,101 28 11.18. 엑스페릭스 810,701 2 11.18. 엔젯 2,473,320 23 11.18. 삼양컴텍 129,870 - 11.19. 에스엔시스 33,333 - 11.19. 시지메드텍 9,174,311 9 11.19. 에스투더블유 1,297,603 12 11.20. 플루토스투자 7,220,000 11 11.20. 한라캐스트 172,413 - 11.20. 바이오비쥬 1,858,785 12 11.21. 제이피아이헬스케어 514,800 10 11.22. 네오크레마 1,674,642 13 11.22. 인벤티지랩 1,858,698 15 11.24. 그린리소스 8,288,800 50 11.24. 기가비스 7,752,167 61 11.25. 그래피 1,212,260 11 11.27. 삼익제약 153,000 2 11.28. 에이스테크놀로지 18,294,312 24 11.29. 엠젠솔루션 589,391 1 11.29. 팬젠 1,157,545 9 11.29. 푸드나무 6,000,000 17 11.29. 엘에스티라유텍 4,387,504 21 합계 (57개사) 208,689,958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 [리포트] 클라우드 실적으로 시장을 놀라게 하다
    데이터독(Datadog)이 뭐하는 회사? 한마디로 "IT 인프라의 건강검진 전문가"입니다. 요즘 기업들은 AWS, Azure, GCP 등 여러 클라우드를 동시에 쓰잖아요? 그러다 보니 시스템이 미친듯이 복잡해졌는데, 데이터독은 이 모든 걸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줍니다. 개발자들이 "아 서버 왜 느려졌지?", "로그 어디서 터졌지?" 하며 밤샐 때, 데이터독 대시보드 하나면 즉시 원인 파악이 가능합니다. 20개 넘는 모니터링 도구가 하나로 통합되어 있거든요. 왜 지금 데이터독인가? 1. 클라우드는 더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멀티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듣기만 해도 복잡하죠? 기업들이 더 많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쓸수록 데이터독의 가치는 올라갑니다. 일종의 "복잡성 세금"을 받는 비즈니스 모델이에요. 2. 한번 쓰면 계속 더 쓴다 데이터독의 비즈니스 전략은 간단합니다. 일단 인프라 모니터링으로 발을 들여놓게 한 다음, "APM도 써보실래요?", "로그 관리도 있어요!", "보안 모니터링은요?" 하면서 계속 제품을 추가로 판매합니다. 실제로 고객당 평균 매출이 꾸준히 늘고 있어요. 3. AI 시대의 숨은 수혜자 ChatGPT 같은 거 만들려면 엄청나게 복잡한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걸 모니터링하려면? 맞습니다, 데이터독이 필요하죠. 최근 'LLM Observability'라는 신제품으로 생성형 AI 모니터링 시장까지 공략 중입니다. 4.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연매출 10만 달러 이상 내는 큰손 고객들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 작은 회사들만 쓰는 툴이 아니라, 대기업들도 인정하는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이라는 뜻이에요. 리스크는 없을까? 1. 주가가 좀 비싸긴 합니다 고성장 기술주 특성상 밸류에이션이 높은 편입니다. 성장세가 둔화되면 주가도 크게 흔들릴 수 있어요. 2. 경쟁자들이 만만치 않다 AWS, Microsoft 같은 빅테크들도 자체 모니터링 툴을 제공하고, Dynatrace, New Relic 같은 전문 업체들도 있습니다. 계속 혁신하지 않으면 따라잡힐 수 있죠. 3. 경기가 안 좋아지면? 경기 침체가 오면 기업들이 IT 예산부터 줄이기 시작합니다. 필수 인프라지만, 비용 최적화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할 수 있어요. 데이터독 투자에서의 핵심? 밸류에이션 스냅샷 (11/14 기준) 현재 주가: $135.20 (주간 +13.8%) 시가총액: 451억 달러 EV/Sales: 15.2배 (업계 평균 대비 높음) P/E: 85.5배 Rule of 40: 50+ 간단히 말하면, 비싸긴 한데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얘기입니다. 매출 대비 기업가치나 주가수익비율이 높은 편이지만, SaaS 업계의 건강도 지표인 'Rule of 40'이 50을 넘는 걸 보면 성장성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고 있는 회사예요. 체크포인트 급등 후 주가 흐름 :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 단기 과열인지, 아니면 진짜 펀더멘털 재평가인지 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어요. 클라우드 업계 동향 :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AWS, Azure, GCP)나 경쟁사들의 컨퍼런스, 신제품 발표를 주목하세요. 데이터독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주요 매크로 지표 : 셧다운이 종료 됐으니, 이젠 소비자물가지수(CPI) 같은 인플레이션 지표가 중요합니다. 성장주들은 금리 전망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든요. * 본 자료는 투자자의 주식 투자를 돕기 위해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의한 투자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 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개인 소장을 제외한 무단 배포, 복사, 전재, 수정, 등록 및 전송 등을 금합니다. 위반 시 법적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따끈따끈한 신규 오픈 강의

트렌디한 주제의 핫한 신규 강의를 살펴보세요.

  • 하루 100원 < 배움스쿨 >
    [리포트] 하루 100원 < 배움스쿨 >
    실전매매 TIP 바움
    매월 27,273 원
  • 앞으로 시황 및 좋은 투자기회는 어디에?
    [강의] 앞으로 시황 및 좋은 투자기회는 어디에?
    포지션 일프로
    50,000 P
  • <31일+31일 코스> 직장인 10분 단타 아카데미 (80명 한정)
    [강의(패키지)] <31일+31일 코스> 직장인 10분 단타 아카데미 (80명 한정)
    기법&차트 보노보노처럼
    400,000 P
  • 99%의 행복 세력필터링(로직 강의 포함)
    [검색기] 99%의 행복 세력필터링(로직 강의 포함)
    스윙 주식역공
    440,000 P
  • [30일 코스] 돈 버는 종가매매 S2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VOD 패키지] [30일 코스] 돈 버는 종가매매 S2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기법&차트 사이에
    800,000 P
  • [7개월 만에 원금 4.5배] 주도주 반등 단타매매 S0 기법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VOD] [7개월 만에 원금 4.5배] 주도주 반등 단타매매 S0 기법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기법&차트 사이에
    200,000 P
  • 삼성동 트레이더 리포트
    [리포트] 삼성동 트레이더 리포트
    또사이선생
    매월 9,000 원
  • 《 터지는 눌림 》 멤버십
    [멘토멤버십] 《 터지는 눌림 》 멤버십
    멤버십 사이에
    매월 200,000 원
  • 로드맵 X 파이어파이어
    [멘토멤버십] 로드맵 X 파이어파이어
    멤버십 또사이선생
    6,272,727 P
  • 달마현 <피봇 매매 실전 기법> - 급등주는 피봇에서 출발한다
    [VOD] 달마현 <피봇 매매 실전 기법> - 급등주는 피봇에서 출발한다
    기법&차트 달마현
    100,000 P
  • [미국주식 적용가능] AI 로 흔들리지 않는 투자 ''확신''을 세우는 법 (AI로직 + 검색기 제공)
    [VOD] [미국주식 적용가능] AI 로 흔들리지 않는 투자 ''확신''을 세우는 법 (AI로직 + 검색기 제공)
    기법&차트 일프로
    500,000 P
  • 황교수의 <투자전략론>
    [멘토멤버십] 황교수의 <투자전략론>
    멤버십 황교수
    1,500,000 P
  • 황교수의 <투자학개론>
    [강의(패키지)] 황교수의 <투자학개론>
    기법&차트 황교수
    무료

에디터가 직접 추천하는 강의

핀업에서만 만날 수 있는 ‘진짜’ 투자 고수들의 노하우!

  • 로드맵 X 파이어파이어
    [멘토멤버십] 로드맵 X 파이어파이어
    멤버십 또사이선생
    6,272,727 P
  • 99%의 행복 세력필터링(로직 강의 포함)
    [검색기] 99%의 행복 세력필터링(로직 강의 포함)
    스윙 주식역공
    440,000 P
  • 게임조아 조언서비스 시즌2
    [리포트] 게임조아 조언서비스 시즌2
    게임조아
    매월 300,000 원
  • 삼성동 트레이더 리포트
    [리포트] 삼성동 트레이더 리포트
    또사이선생
    매월 9,000 원
  • [7개월 만에 원금 4.5배] 주도주 반등 단타매매 S0 기법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VOD] [7개월 만에 원금 4.5배] 주도주 반등 단타매매 S0 기법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기법&차트 사이에
    200,000 P
  • 《 터지는 눌림 》 멤버십
    [멘토멤버십] 《 터지는 눌림 》 멤버십
    멤버십 사이에
    매월 200,000 원
  • 파이어파이어 멤버십
    [멘토멤버십] 파이어파이어 멤버십
    멤버십 또사이선생
    매월 272,727 원
  • [미국주식 적용가능] AI 로 흔들리지 않는 투자 ''확신''을 세우는 법 (AI로직 + 검색기 제공)
    [VOD] [미국주식 적용가능] AI 로 흔들리지 않는 투자 ''확신''을 세우는 법 (AI로직 + 검색기 제공)
    기법&차트 일프로
    500,000 P
  • 달마현 <피봇 매매 실전 기법> - 급등주는 피봇에서 출발한다
    [VOD] 달마현 <피봇 매매 실전 기법> - 급등주는 피봇에서 출발한다
    기법&차트 달마현
    100,000 P
  • 황교수의 <투자전략론>
    [멘토멤버십] 황교수의 <투자전략론>
    멤버십 황교수
    1,500,000 P
  • 황교수의 <투자학개론>
    [강의(패키지)] 황교수의 <투자학개론>
    기법&차트 황교수
    무료
  • 오십이 리뉴얼
    [검색기] 오십이 리뉴얼
    단타 보노보노처럼
    200,000 P
  • '일봉 시세 초입' 직장인 검색기
    [검색기] '일봉 시세 초입' 직장인 검색기
    스윙 바움
    50,000 P
  • 머니서퍼 PLUS
    [리포트] 머니서퍼 PLUS
    머니서퍼
    매월 50,000 원
  • [검색기 포함] 주식단테 열혈 영상 모음집 35강 까투리검색기 만들기 SET
    [VOD] [검색기 포함] 주식단테 열혈 영상 모음집 35강 까투리검색기 만들기 SET
    기법&차트 주식단테
    1,200,000 P
  • 『백피디의 투자 지도 2025』 3만원으로 유망 아파트 명단 받기
    [VOD] 『백피디의 투자 지도 2025』 3만원으로 유망 아파트 명단 받기
    부동산 머니프로듀서백피디
    30,000 P
  • <31일+31일 코스> 직장인 10분 단타 아카데미 (80명 한정)
    [강의(패키지)] <31일+31일 코스> 직장인 10분 단타 아카데미 (80명 한정)
    기법&차트 보노보노처럼
    400,000 P
  • 하루 100원 < 배움스쿨 >
    [리포트] 하루 100원 < 배움스쿨 >
    실전매매 TIP 바움
    매월 27,273 원
  • 앞으로 시황 및 좋은 투자기회는 어디에?
    [강의] 앞으로 시황 및 좋은 투자기회는 어디에?
    포지션 일프로
    50,000 P
  • [30일 코스] 돈 버는 종가매매 S2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VOD 패키지] [30일 코스] 돈 버는 종가매매 S2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기법&차트 사이에
    800,000 P

실시간 이슈 테마

  • 장중